본문 바로가기
주식 코인 부동산 경제 이야기

알테오젠 특허무효심판 승리 전망, 키트루다SC 출시 청신호

by 천사알루츠 2025. 6. 16.
728x90
반응형

알테오젠 특허무효심판 승리 전망, 키트루다SC 출시 청신호

목차
1. 알테오젠-할로자임 특허 분쟁 개요
2. 미국 특허청 PGR 심리 개시의 의미
3. 키트루다SC 출시 일정과 투자 포인트
4. 실제 투자자 관점에서 본 알테오젠 전망
5. FAQ 및 투자 시 주의사항

바이오 투자를 해본 분이라면 알테오젠이라는 이름이 낯설지 않을 것입니다. 지난 몇 년간 부침을 겪었던 이 회사가 드디어 게임 체인저급 호재를 맞았습니다. 미국 특허청이 MSD 측 손을 들어주면서 할로자임과의 특허 전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한 것입니다. 과연 이번이 알테오젠 주주들이 그토록 기다렸던 '그 순간'일까요?

 

알테오젠-할로자임 특허 분쟁 개요

사실 이 분쟁은 예견된 일이었습니다. 전 세계에서 정맥주사를 피하주사로 바꾸는 기술을 가진 회사가 딱 두 곳뿐이니까요. 알테오젠의 'ALT-B4'와 할로자임의 '인핸즈' 기술이 정면 충돌한 겁니다.

 

문제의 발단은 알테오젠이 파트너십을 맺은 MSD의 키트루다SC 때문입니다. 연매출 25조원이 넘는 키트루다의 피하주사 버전이라니, 할로자임 입장에서는 그냥 넘어갈 수 없었던 거죠. 지난 4월 뉴저지연방법원에 특허침해 소송을 제기한 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구분 알테오젠 할로자임
핵심 기술 ALT-B4 인핸즈/엠다제
시가총액 약 4조원 약 8조원
특허 만료 장기간 보호 2027~2034년

 

미국 특허청 PGR 심리 개시의 의미

여기서 중요한 건 미국 특허청의 특허무효심판(PGR) 개시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놓치는 부분인데, 특허청이 PGR을 개시한다는 것은 "해당 특허가 무효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미국특허심판원은 첫 번째 심리 개시문에서 할로자임에게 상당히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습니다. "광범위성 대비 구체적인 구조·기능적 근거가 부족하다"며 할로자임의 특허 전체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못 박았거든요.

 

더욱 고무적인 건 MSD 측 증거에 대해 "기존과 차별화된 새로운 증거"라고 평가한 점입니다. 이는 알테오젠의 기술 독자성이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키트루다SC 출시 일정과 투자 포인트

투자자 입장에서 가장 궁금한 건 역시 수익 창출 시점이겠죠. 키트루다SC는 올해 10월 출시 예정이며, PGR 절차로 인해 할로자임의 소송이 내년 6월까지 중단됩니다. 즉, 출시 지연 리스크가 거의 사라진 상황입니다.

 

수익 구조를 보면 더욱 매력적입니다:

  • 판매 마일스톤: 총 1조 5,000억원 규모
  • 로열티: 순매출의 4~5% (지속적 수익)
  • 출시 시점: 2025년 10월 (3개월 후)
  • 시장 규모: 연간 25조원 이상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키트루다 연매출이 25조원을 넘는 상황에서 4~5% 로열티만으로도 연간 1조원 이상의 수익이 가능하다"며 "이는 현재 알테오젠 시가총액(4조원)을 감안할 때 상당한 리레이팅 요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시나리오 연간 로열티 수익 주가 임팩트
보수적 (4%) 약 1조원 중간 수준
적정 (4.5%) 약 1조 1,250억원 상당한 상승
낙관적 (5%) 약 1조 2,500억원 대폭 상승

 

실제 투자자 관점에서 본 알테오젠 전망

솔직히 말하면, 알테오젠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들은 지난 몇 년간 고생이 많았습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기대감으로 한때 100만원을 넘봤던 주가가 20만원대까지 떨어졌으니까요.

 

하지만 이번 PGR 개시는 다릅니다. 실질적인 수익 창출이 3개월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법적 리스크까지 크게 줄어든 거죠. 6월 4일 8% 넘게 상승한 것도 이런 배경입니다.

 

주목할 점은 알테오젠이 키트루다SC 외에도 추가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다는 겁니다. 올해만 신규 ALT-B4 라이선스아웃 2건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 동력이 기대됩니다.

 

다만 투자 시 고려해야 할 리스크도 있습니다:

  • 바이오 업종 특성상 높은 변동성
  • PGR 최종 결과의 불확실성 (낮지만 존재)
  • 경쟁사와의 추가 분쟁 가능성
  • 글로벌 제약 시장 환경 변화

 

FAQ 및 투자 시 주의사항

Q: PGR에서 알테오젠이 질 가능성은 없나요?

A: 미국특허심판원이 심리를 개시했다는 것 자체가 할로자임 특허 무효 가능성을 높게 본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100% 확실하지는 않지만, 현재까지 나온 심리 사유를 보면 알테오젠에게 상당히 유리한 상황입니다.

 

Q: 키트루다SC 로열티는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A: 올해 10월 출시되면 바로 로열티 인식이 시작됩니다. 다만 실제 매출 반영은 분기 실적에서 확인할 수 있어,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 실적에서 본격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Q: 목표 주가는 어느 정도로 보시나요?

A: 신한투자증권은 73만원을 목표주가로 제시했습니다. 키트루다SC 로열티만으로도 현재 주가 대비 상당한 상승 여력이 있다고 봅니다. 다만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하시기 바랍니다.

 

알테오젠의 특허무효심판 승리 전망은 단순한 주가 상승 이슈를 넘어, 한국 바이오테크의 글로벌 경쟁력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입니다. 이제 남은 건 시장의 최종 평가뿐입니다.

이 글은 알테오젠에 대한 투자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